읽으면ALB에 커스텀 도메인을 적용할 수 있다.커스텀 도메인에 https를 적용할 수 있다.추가적인 보안인스턴스 80포트로의 외부 접근을 막고 로드밸런서로만 인바운드 라우팅하도록 할 수 있다배경지식ALB도 (EC2 인스턴스처럼) 고정 IP는 아니지만, AWS에서 default domain을 제공한다.(ALB의 DNS 이름은 AWS측에서 최신 IP를 가리키도록 업데이트한다)이를 통해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다.ALB에 Custom Domain 적용하기ALB는 default domain name을 제공한다.하지만 꽤 복잡해서 외우기힘들다.유저가 ALB로 들어오기 쉽게 커스텀 도메인을 만들고 적용해보자.Lightsail에서 Domains & DNS - Register domain 에서 도메인을 구매할 수 있다...
지난 이야기같은 와이파이에 연결되어 있는 로컬 환경 맥북에서 ssh로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했다.이제 라즈베리파이에 간단한 http server를 띄워서 외부 접속을 하기 위해 포트포워딩으로 길을 뚫어보자.라즈베리파이에서 테스트용 웹 서버 띄우기라즈베리파이 OS에는 python3이 기본적으로 깔려있다.python3의 http.server 명령어로 간단하게 HTTP 서버를 띄울 수 있다. 일단 로컬 환경 맥북에서 라즈베리파이의 웹 서버로 접속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자http://192.168.45.62:12345 로 접속하였다.웹 서버가 잘 띄워졌다.외부에서 웹 서버 접속하기외부에서 해당 웹 페이지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로컬 와이파이 환경을 만들어주는 공인아이피 주소를 알아야한다.또한 해당 공유기 설정에서 외부 ..
목표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해 Todo App을 인터넷에 공개한다.기대 효과해당 키워드들을 이해하고 다룰 수 있다.1. 웹 서버2. 포트포워딩3. DB시작하기1. 라즈베리파이 OS 설정 및 설치라즈베리파이4B (RAM 4G)를 이용했다.저장소인 마이크로SD 카드에 Raspberry Pi OS를 설치했다.Raspberry Pi OS는 리눅스 기반의 데비안을 이용해 만든 OS이다.RAM이 4G이기 때문에, 32bit Raspberry Pi OS Full를 설치해주었다.원래는 유선마우스, 키보드 또는 usb동글을 이용하는 마우스, 키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해서 초기설정을 해야한다.하지만 블루투스 키보드, 마우스만 가지고 있다면 곤란하다. (상호작용을 할 수 없다.)다행히 Imager에서 OS 설치 전 미리 초기 ..
문제를 맞딱뜨리고 해결책을 생각하기전에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면 좋을 것 같다.무엇이 문제인가? 문제의 원인은? “진짜” 문제는 무엇인가?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면 근본 원인보다는 증상(현상)만 고치는 해결책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는 버그를 해결할때도 마찬가지인데, 처음엔 문제가 해결되는듯 싶다가 결국엔 원래의 문제가 더 큰 문제를 불러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누구의 문제인가?문제를 겪고 있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해결책과 받아들일 수 없는 해결책은 무엇일까? 우리는 그 사람들의 저항을 낮추기 위해 어떤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까?누가 문제를 해결해야할까?문제를 가진, 제시한 사람이 반드시 문제를 해결해야하는건 아니다. 팀원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더 적합한..
빈 시간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책의 사례에서는 빈 시간의 지루함을 다양한 방식으로 해결한다. 승객이 캐리어까지 가는 시간을 오래걸리게 만든다던지, 엘리베이터에 거울이나 퍼즐을 놓는다던지 해서 사용자 뇌를 자극시킨다. 그 시간이 유익했는지의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새로운 경험을 했다는 것이 중요하다. 제일 심각한 것은 지루함을 느끼면서도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다.선택은 당신 마음이에요“이걸 쓰세요”, “그것도 훌륭하지만 이건 어떠세요?”. 전자는 자유가 억압되는 느낌이고 후자는 선택의 자유가 느껴진다. 이처럼 사람들에게 결정권을 부여하면 행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개발팀 내부 새로운 기술을 제안할때도 적용할 수 있지 않을까? “이게 더 좋아요”, “이건 어떤가요?”보이는 것을 믿는다나뭇가지가 포함된 주..
0. CloudFormation 템플릿이란?CloudFormation 템플릿은 AWS 리소스(EC2, S3, IAM 등)를 코드(.yaml 또는 .json)로 정의한 문서이다.템플릿을 구성하는 섹션은 다음과 같다. • Resources: EC2 인스턴스, Lambda 함수, RDS 데이터베이스 등 생성할 AWS 자원 정의 • Parameters: 템플릿을 실행할 때마다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변수 값 정의 • Mappings: 조건에 따라 사용할 리소스를 선택하거나 설정할 때 사용하는 키-값 맵 정의 • Outputs: 생성된 리소스의 정보를 출력으로 제공하여 다른 템플릿이나 서비스와 연계 가능 • Conditions: 특정 조건에 따라 리소스를 생성하거나 생성하지 않게 설정 가능1. 템플릿을 보관하는 ..
1. 학습 목표S3 Bucket을 생성하는 YAML 템플릿을 작성할 수 있다.AWS 콘솔에서 CloudFormation 스택을 생성할 수 있다.템플릿(Template): YAML/JSON으로 작성된 인프라 정의서스택(Stack): CloudFormation 템플릿을 실행하여 AWS 리소스를 생성하는 단위2. 스택 생성하기S3 Bucket을 생성하는 YAML 템플릿 파일 생성생성한 YAML 템플릿을 AWS 콘솔에서 CloudFormation에 올려서 스택 만들기업로드한 템플릿은 s3에 자동 저장된다.이미 s3에 저장된 템플릿을 가져올수도 있다.# S3 버킷을 생성하는 CloudFormation 템플릿AWSTemplateFormatVersion: 2010-09-09Resources: KumaS3Buc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