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고 얻고자 하는 것현재 PO가 없는 조직에서 일하고 있다.정확히는 PO가 없는 조직이 잘 돌아가는지에 대한 실험의 실험체로서 일하고 있다.하지만 성공적인 프로덕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PO의 역할을 누군가는 해야한다.따라서 우리 조직은 PO의 역할을 직군에 관계없이 이해하고 수행해야한다. 나는 제품 개발로 가는 길목에 아이디에이션을 하며 사업 조직이 겪고있는 문제 상황, 그 상황을 개선할 솔루션을 제안하기 위한 가정과 가설을 정의하고 있다.근데 이게 어렵다.실무진 업무 참관을 하지만 어떤 부분이 힘들어요, 귀찮아요, 이 어드민 기능을 개선해줬으면 좋겠어요. 등의 상황만 보일 뿐이지 얽혀져있는 진짜 문제가 무엇인지는 파악하기 힘들다.또한 그것을 파악하기 위해서 실무진 초대석도 가져봤지만 아직 나는 ..
[추가 정보]Parameter store 환경변수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는 툴인 chamber에 이미 같은 기능이 구현되어있다.chamber import를 사용해보자.문제 상황Parameter store는 AWS 콘솔에서 값을 하나씩 업로드하는 방식만 제공한다.프로젝트에서 env를 Parameter store에 보관한다고 할 때, env 양이 많은 경우 번거롭다.심지어 배포 정책에 따라 dev, stag, prod와 같이 여러 환경이 존재한다면 노가다가 더 길어진다.요구 사항.env파일에 적힌 환경변수를 명령어 한번으로 Parameter store에 한번에 업로드 할 수 있다.해결 방안프로젝트 레포의 터미널에서 cli로 업로드를 하면 편할 것 같다.shell 파일을 이용해보자.아래와 같이 실행할 수 있다..
SQS ConfigurationVisibility timeout어떤 소비자가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 부터 해당 메시지가 다른 소비자에게 숨겨지는 시간 (중복 소비 방지)소비자의 작업이 길어지면 직접 sqs에 Visibility time 연장 API를 쏴야함Message retention period메시지가 처음 큐로 들어왔을 때 부터 살아있는 시간메시지가 재처리(큐에 재입고)될 때마다 리셋되지는 않는다.Delivery delay메시지 소비 시작 시점을 늦추는 기능메시지를 큐에 넣긴 하지만, 지연 시간동안 소비자에게 숨겨서 바로 처리되지 않게 한다.Maximum message size메시지 최대 크기 (1byte ~ 1MiB)1MiB보다 큰 메시지를 전송하려면 S3에 메시지 페이로드를 저장한 후 해당 참조를..
읽으면ALB에 커스텀 도메인을 적용할 수 있다.커스텀 도메인에 https를 적용할 수 있다.추가적인 보안인스턴스 80포트로의 외부 접근을 막고 로드밸런서로만 인바운드 라우팅하도록 할 수 있다배경지식ALB도 (EC2 인스턴스처럼) 고정 IP는 아니지만, AWS에서 default domain을 제공한다.(ALB의 DNS 이름은 AWS측에서 최신 IP를 가리키도록 업데이트한다)이를 통해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다.ALB에 Custom Domain 적용하기ALB는 default domain name을 제공한다.하지만 꽤 복잡해서 외우기힘들다.유저가 ALB로 들어오기 쉽게 커스텀 도메인을 만들고 적용해보자.Lightsail에서 Domains & DNS - Register domain 에서 도메인을 구매할 수 있다...
지난 이야기같은 와이파이에 연결되어 있는 로컬 환경 맥북에서 ssh로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했다.이제 라즈베리파이에 간단한 http server를 띄워서 외부 접속을 하기 위해 포트포워딩으로 길을 뚫어보자.라즈베리파이에서 테스트용 웹 서버 띄우기라즈베리파이 OS에는 python3이 기본적으로 깔려있다.python3의 http.server 명령어로 간단하게 HTTP 서버를 띄울 수 있다. 일단 로컬 환경 맥북에서 라즈베리파이의 웹 서버로 접속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자http://192.168.45.62:12345 로 접속하였다.웹 서버가 잘 띄워졌다.외부에서 웹 서버 접속하기외부에서 해당 웹 페이지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로컬 와이파이 환경을 만들어주는 공인아이피 주소를 알아야한다.또한 해당 공유기 설정에서 외부 ..
목표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해 Todo App을 인터넷에 공개한다.기대 효과해당 키워드들을 이해하고 다룰 수 있다.1. 웹 서버2. 포트포워딩3. DB시작하기1. 라즈베리파이 OS 설정 및 설치라즈베리파이4B (RAM 4G)를 이용했다.저장소인 마이크로SD 카드에 Raspberry Pi OS를 설치했다.Raspberry Pi OS는 리눅스 기반의 데비안을 이용해 만든 OS이다.RAM이 4G이기 때문에, 32bit Raspberry Pi OS Full를 설치해주었다.원래는 유선마우스, 키보드 또는 usb동글을 이용하는 마우스, 키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연결해서 초기설정을 해야한다.하지만 블루투스 키보드, 마우스만 가지고 있다면 곤란하다. (상호작용을 할 수 없다.)다행히 Imager에서 OS 설치 전 미리 초기 ..
문제를 맞딱뜨리고 해결책을 생각하기전에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면 좋을 것 같다.무엇이 문제인가? 문제의 원인은? “진짜” 문제는 무엇인가?충분히 이해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면 근본 원인보다는 증상(현상)만 고치는 해결책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는 버그를 해결할때도 마찬가지인데, 처음엔 문제가 해결되는듯 싶다가 결국엔 원래의 문제가 더 큰 문제를 불러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누구의 문제인가?문제를 겪고 있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해결책과 받아들일 수 없는 해결책은 무엇일까? 우리는 그 사람들의 저항을 낮추기 위해 어떤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까?누가 문제를 해결해야할까?문제를 가진, 제시한 사람이 반드시 문제를 해결해야하는건 아니다. 팀원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더 적합한..